고사성어

인급가족 (人給家足)

Fullsteam Paul 2024. 10. 9. 15:18

인급가족(人給家足)

 

[독음] (: 사람 인. : 넉넉할 급. : 집 가. : 발 족)

[동어] 家給人足(가급인족).

[출전]《사기(史記) 130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

[의미]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이 풍족(豊足)함 또는 산물(産物)이 풍족하여 생활(生活)이 넉넉함이라는 뜻.

[내용] 묵자(墨子)는 묵가(墨家) 학설의 창시자이다. 그는 본래 춘추 전국 시대 송()에서 태어났으나, 후에 노()나라에 와서 살았다. 묵자는 처음 유가(儒家)를 공부하였으나, 후에는 유가의 번잡한 예()에 불만을 느끼고, 스스로 학파를 형성하여 제자들을 가리키며 유가를 반대하는 주요한 학파가 되었다.  묵가에 속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귀족출신이 아니라 평민이나 소작농들이었다. 그들의 생활은 매우 검소하였는데, 그들은 아주 낮은 흙집에서 살며, 지붕 위에는 자르지 않은 띠풀을 덮었고, 나무는 베어 대패질을 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그들은 흙으로 만든 그릇에 밥이나 국을 담아서 먹고, 거친 밥과 국을 끓여 먹었다.  여름에는 칡껍질로 만든 옷을 입었으며, 겨울에는 사슴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었다. 그들은 장사(葬事)를 지낼 때 두께가 세 치인 오동나무 관을 사용하였으며, ()을 하여도 그 슬픔을 다하지는 않았다. 상례(喪禮)를 가르칠 때에는 반드시 위의 말한 것을 기본으로 삼았는데, 이렇게 하면 세상에 존비(尊卑)의 구별이 없게 된다.  세상이 달라지고 시대가 바뀌어, 세상 일들이 모두 달라지게 되었으므로, 검약(儉約)하여야 하지만 이를 행하기는 어렵다. 요컨대, 근본을 강하게 하고 씀씀이를 줄이는 것은 분명히 집집마다 살림을 넉넉하게 하고 사람마다 의식을 족하게 하는 길이다(要曰强本節用, 則人給家足之道也). 이것은 묵가의 좋은 점으로서 백가(百家)라 하더라도 이를 없앨 수 없다.

墨者亦尙堯舜道言其德行 : 堂高三尺土階三等茅茨不翦棌椽不斲飯土簋歠土刑畴粱之食 藜藿之羹夏日葛衣冬日鹿裘 其送死桐棺三寸, 擧音不盡其哀. 敎喪禮必以此爲  萬民之率. 使天下法若此則尊卑無別也. 夫世異時移事業不必同故曰儉而難遵.要曰彊本節用則人給家足之道也. 此墨子之所長雖百長弗能廢也.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모구자 (吹毛求疵)  (2) 2024.10.09
원수불구근화 (遠水不救近火)  (1) 2024.10.09
문정약시 (門庭若市)  (1) 2024.10.09
승당입실 (升堂入室)  (2) 2024.10.09
과유불급 (過猶不及)  (0) 2024.10.08